끝까지 살아서 암세포만 공격하는 약물 전달체 개발

끝까지 살아서 암세포만 공격하는 약물 전달체 개발

UNIST 유자형·강세병·김채규 교수팀, 단백질 보호막으로 나노입자 둘러싸

UNIST 자연과학부 유자형·강세병·김채규 교수팀이 체내에서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작동하는 약물 전달체 플랫폼 기술과 물질을 개발했다. 사진은 UNIST 자연과학부 유자형 교수.(사진 = UNIST 제공)

 

몸 속의 암세포만 공격하는 똑똑하고 효과적인 치료제, 이른 바 스마트 약물 전달체 핵심기술이 개발됐다.

UNIST(울산과학기술원)는 자연과학부 유자형·강세병·김채규 교수팀이 체내에서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작동하는 약물 전달체 플랫폼 기술과 물질을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

기존 약물 전달체는 체내 수백 가지 단백질이 전달체에 달라붙는 '단백질 코로나' 현상으로 인해 그 효과가 미미하다.

이 현상으로 약물이 암세포 등 표적에 도달해도 치료효율이 매우 낮고, 다른 장기에 영향을 미쳐 독성을 유발하는 부작용이 나타난다는 거다.

하지만 이번에 개발된 기술은 다른 단백질과 상호작용하지 않는 특수 단백질로 보호막을 만들고, 나노입자를 보호해 암세포만 사멸시킬 수 있다고 UNIST 연구진은 설명했다.

재조합 DNA를 이용해 '매우 안정한 부분'과 '암세포에만 달라붙는 부분'을 가진 재조합 단백질을 만들었다.

이어 이 단백질로 약물을 전달할 나노 입자 표면을 둘러싸 보호막으로 활용했다.

UNIST 자연과학부 유자형·강세병·김채규 교수팀이 체내에서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작동하는 약물 전달체 플랫폼 기술과 물질을 개발했다. 그림은 단백질 보호막을 가진 약물 전달체의 작동 모식도.(그림 = UNIST 제공)

 

즉, '단백질 보호막을 가진 약물 전달체(PCSN)'가 만들어진 것.

단백질 보호막 약물 전달체는 오랜 시간 생체환경에 노출돼도 면역세포에 잡히지 않으면서 암세포를 사멸시킬 수 있었다.

또 암세포를 가진 생쥐 실험에서도 기존에 보고된 약물 전달체에 비해 암세포를 더 잘 공격하면서 생체에 독성도 적은 것으로 확인됐다.

유자형 교수는 "이번에 밝혀진 연구결과는 암 치료는 물론 다양한 질병의 진단과 치료, 열-광학 치료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며 "새로운 '표적 지향형 약물 전달 시스템의 원천기술'을 확보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저명한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 1일 온라인 판에 발표됐다.

추천기사

스페셜 그룹

울산 많이본 뉴스

중앙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