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여천천·태화강역 일원 친환경 생태공원으로 바뀐다

울산 여천천·태화강역 일원 친환경 생태공원으로 바뀐다

여천하수처리장 건설…물 흐름⸱수질 개선 기대
삼산⸱여천매립장, 돋질산 여천공원 일원 생태숲 조성
태화강역 일원 복합개발…생태공원사업과 연계

울산시 남구 여천천 일원 생태공원 조성 계획도. 울산시 제공울산시 남구 여천천 일원 생태공원 조성 계획도. 울산시 제공울산시가 여천천과 태화강역 일원을 친환경 생태공원으로 조성한다.

송철호 울산시장은 16일 오전 남구 돋질산에서 브리핑을 갖고 '여천천⸱태화강역 친환경 생태공원 조성 방안'을 발표했다.

우선 여천천을 도심 속 청정하천으로 조성한다.

시는 여천천 하류에 여천하수처리장을 2027년까지 건설해 도시개발에 따른 하수량 증가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로 했다.

또 기존 관로를 활용해 고도정화 처리된 방류수를 공업탑 인근에서부터 흘려 하천 유지수로 공급한다.

방류수를 공급하면 유량이 2~3배 늘게 돼 물 흐름과 수질 개선, 해충 제거 등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시는 기대하고 있다.

여천배수장의 악취 등 배수장 주변 환경 개선을 위해 퇴적물 건조화·준설도 남구와의 협의를 통해 적극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또 삼산⸱여천매립장, 돋질산 여천공원 일원에 생태숲을 조성하기로 했다.

삼산⸱여천 매립장 부지는 태화강과 여천천이 만나는 지역으로, 1970년대 말까지는 자연 상태의 습지였으나, 1980년대 초부터 1990년대 초까지 쓰레기 매립장으로 이용되면서 환경이 훼손됐다.

시는 해당 부지에 '숲의 바다'라는 명칭으로 울산 대표 생태숲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숲의 바다는 메타세쿼이아와 은행나무로 이루어진 '선사의 숲', 대나무와 억새, 갈대, 상록수와 활엽수를 활용한 '현재의 숲'으로 조성할 예정이다.

여천천과 연계한 수생식물원과 산책로, 전망대 등도 만들어 휴식공간으로 꾸민다.
 
시는 여천천과 태화강을 연결하는 산책로와 자전거 도로가 조성되면 여천천에서 태화강, 동천까지 걷거나 자전거를 타고 자연을 만끽할 수 있는 녹색 둘레길이 완성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울산시는 이와 함께 태화강역 일원 복합개발을 추진하기로 하고, 이를 삼산⸱여천매립장, 여천천 일원 사업과 연계하기로 했다.

시는 지난 1월 발표한 태화강역 수소복합허브 조성 계획과 연계해 태화강역 주변을 수소 기반의 문화, 관광, 자연이 어우러진 세계적인 명소로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서울의 경우 청계천 복원을 통해 환경을 재정비하고, 일대를 문화의 중심지로 만들었다"며 "여천천을 중심으로 친환경 정주 여건을 꾸준히 늘려나가 지역 문화와 경제의 활력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추천기사

스페셜 그룹

울산 많이본 뉴스

중앙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