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두겸 울산시장이 21일 시청 프레스센터에서 울산 암모니아 벙커링 규제자유특구에 지정된 의미와 경제 효과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반웅규 기자울산광역시가 암모니아 벙커링 국제자유특구로 지정됐다. 암모니아를 기반으로 한 친환경 조선산업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울산시는 제15차 규제자유특구위원회에서 울산 암모니아 벙커링 규제자유특구'가 최종 지정됐다고 21일 밝혔다.
규제자유특구는 지역을 단위로 지역과 기업이 직면한 신사업 관련 규제를 완화해 주는 제도다.
울산 암모니아 벙커링 규제자유특구는 중대형 선박에 암모니아 연료를 안전하게 공급하는 기술·기자재를 개발하는 사업을 말한다.
여기에는 차량에 고정된 이동식 탱크로리가 이용된다.
규제자유특구 지정 기간은 오는 2027년 12월까지다. 2년 연장이 가능하다.
사업비는 총 160억 원이 투입된다.
기반조성(43억 원). 실증 연구개발(R&D)(87억5천만 원), 사업화 지원(30억 원) 등 3개 분야로 나눠 진행된다.
울산테크노파크,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울산대학교, HD현대중공업(주) 등 총 23개 기관이 참여한다.
이번 특구 지정으로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등 기존 규제 아래서는 불가능했던 '이동식 탱크로리를 이용한 해상 벙커링 실증'이 가능해졌다.
이를 통해 이동식 탱크로리가 건조 중인 선박으로 접근해 암모니아를 충전하는 방식이 가능해진다.
이는 국내 최초 규제특례 적용 사례다. 암모니아 벙커링의 실질적인 사업화에도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김두겸 울산시장은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2050년에는 암모니아가 전 세계 해운업 연료의 44%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이번 특구 지정을 통해 울산이 세계 시장을 선점하는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