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교육청, 2027년 교육발전특구 정식 지정 도전한다

울산시-교육청, 2027년 교육발전특구 정식 지정 도전한다

울산시교육청, 26일 교육발전특구 성과관리 연구용역 최종 보고회
울산시와 교육특구 추진 성과, 향후 과제 논의…특구 정식 지정 준비
3년 예산만 358억5400여 만원…지역 인재 양성하고 정주 여건 개선

울산시교육청과 울산시는 26일 교육청 집현실에서 교육발전특구 성과관리 연구용역 최종 보고회를 가졌다. 울산광역시교육청 제공울산시교육청과 울산시는 26일 교육청 집현실에서 교육발전특구 성과관리 연구용역 최종 보고회를 가졌다. 울산광역시교육청 제공울산시교육청과 울산시가 2027년 교육부의 교육발전특구 정식 지정에 도전한다.  

울산시교육청은 26일 교육청 집현실에서 교육발전특구 성과관리 연구용역 최종 보고회를 가졌다.

이 자리에서 울산시와 교육특구 추진 성과, 향후 과제를 논의하며 2027년 특구 정식 지정을 준비하기로 했다.

교육발전특구는 지자체와 교육청, 대학, 산업체가 연계해 지역 맞춤형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말한다.

단순히 인재 양성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정주 여건의 선순환을 가져오는 좋은 사례를 마련할 경우, 교육부로부터 특구 지정을 받게 된다.

울산은 2024년 교육특구 시범지역으로 선정된 이후, 내년까지 시범지역이 유지된다. 여기에 교육부의 특별교부금과 울산시, 울산시교육청 등 3년간 총 예산만 358억5400여 만원이 들어간다.

울산시교육청과 울산시는 2027년 교육특구 정식 지정을 위해 울산만의 특화된 새 모형을 구축하기로 했다.

산업구조와 대학 특성을 반영한 새 과제를 구상하는데 현재 추진하고 있는 사업의 실효성을 높인다.

그동안 진행된 교육특구 사업을 보면, 3대 전략과 14개 세부과제다. 3대 전략은 유아교육·돌봄, 교육과정 운영과 고졸취업 활성화, 대학 경쟁력 강화으로 구성된다.

14개 세부과제는 울산형 책임돌봄 프로젝트, 방과후 돌봄 프로그램, 지역 연계 진로교육 강화, 협약형 특성화고 육성, 고교-대학 연계 공동교육과정 운영 등이다.

천창수 울산광역시교육감이 26일 교육발전특구 성과관리 연구용역 최종 보고회에서 총평을 하고 있다. 울산시교육청 제공천창수 울산광역시교육감이 26일 교육발전특구 성과관리 연구용역 최종 보고회에서 총평을 하고 있다. 울산시교육청 제공여기서 더 나아가 새 과제를 고민하고 있는 울산은 자동차, 조선, 화학 전략산업과 직업계고 ·대학 연계한 교육과정·학과를 특화하는 모델을 검토 중이다.

또 울주와 동구지역 폐교나 유휴공간을 활용한 교육센터를 비롯해 취·창업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할 예정이다.

산업도시 울산에 맞벌이 가정이 많은 것을 감안, 산업단지에 맞춤형 돌봄을 제공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대학과 기업이 연계해 학생에게 장학금이나 해외연수를 제공하거나 울산형 k-팝 사관학교 설치하는 방안도 나왔다.

이외에도 울주군 산악농촌 학교나 동구·북구 외곽 작은학교를 연결하는 교육특구 전용 순환 버스 운영도 고민하고 있다.

교육부가 2027년 지정할 교육특구와 관련해 구체적인 정책이 나오진 않았다. 하지만 시범 지정때 보다 더 많은 특별교부금이 나올 것으로 알려졌다.

천창수 울산교육감은 "지자체와 대학, 산업체와 협력을 강화해 교육특구 정식 지정 선정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추천기사

스페셜 그룹

울산 많이본 뉴스

중앙 많이 본 뉴스